피아졸라의 사진이 대부분 흑백이어서
검은색과 그 보색계열의 오렌지색을 중심으로 배색했다.
흑백이미지는 검은 상자 안에 두어 대비효과를 주었다.
가독성을 위해 여백과 행간을 충분히 두고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리했다.
Working Base
Format : 신국판 152×225㎜ / Program : illustrator CS6, InDesign CS6
Font : 산돌제비 Light(본문), 산돌고딕 Neo 중간/옅은체
Description
학술지 내지 (미출간)
Layout : 1단 9모듈 대칭 그리드
본문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여백은 연한회색톤으로,
각주는 별도의 구분된 박스로 처리했다.
검색의 용이성을 위해, 스프레드 양쪽 끝에 회색띠를 두고 섹션명, 논문명, 쪽번호를 배치했다.
표(도표)에서는 불필요한 선을 삭제하고, 장, 절의 제목에는 선을, 인용문은 박스처리하여,
내용의 위계를 분명히했다.
Working Base
Format : 신국판 152×225㎜ / Program : Photoshop CS6, illustrator CS6, InDesign CS6
Font : 바른바탕 Light(본문), 바른바탕 Medium,  a Noto Sans KR Light, Medium, Arial regular
Description
단행본 : 인문교양서 (미출간)
Layout : 5단 5모듈 대칭 그리드
스프레드 양끝 단은 비워두고 관련된 사진이나, 해설등을 배치하여
본문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특히 내용이해에 도움이 될 지도나 도표의 배치에 유의했다.
여백과 행간을 충분히 주고, 베이지, 연한 빨강을 주로 배색하여,
자극없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읽혀지도록 고려했다.
Working Base
Format : 210×260㎜ / Program : Photoshop CS6, InDesign CS6
Font : 윤고딕 310, 320, 330,  a신신명조 Light
Description
Movie Magazine / Section 영화 : 시대를 읽다
Layout : 5단 6모듈 대칭 그리드
영화 속 미로처럼, 단의 높이와 위치에 변화를 주었다.
관련된 이미지는 내용전개에 맞추되 스프레드 외곽에 배치하여,
본문의 흐름이 시각적으로 이어지게끔 고려했다.
스크린 톤을 반영해 붉은계열로 배색했고, 영화정보는 마지막 페이지에 박스기사로 정리했다.
Working base
Format : 탁상달력 240×180㎜ / Program : illustrator CS6 / Font : KorPub 돋움체, Helbetica Nueu
Description
수원 화성의 주요전각을 주제로 한 탁상 달력. (2016년 11, 12월)
화성의 특징이 잘 드러난 전각들을 선정하여 촬영한 후, 사진을 참고하여 기본구도를 잡았다.
성곽을 표현한 일러스트와 함께 달력으로의 실용성에도 유의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했다.
일러스트는 기둥, 공포, 기와, 단청 등 전통건축의 특징이 잘 드러나도록,
단순화하지 않고, 가능한 세부를 표현하는 방향으로 작업했다.
Working base
Format : A4 297×210㎜ / Layout : 수평 5분할 그리드 / Program : illustrator CS6
Description
임진전쟁의 주요해전이 일어난 시기와 위치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고려했다.
수평으로 5분할된 공간 중, 상단 2모듈에는 지도를, 하단 3모듈에는 연표를 배치했다.
연표는 조선시대 주력 전함인 판옥선의 측면으로 표현했다.
주요 해전과 전쟁의 전반적인 상황을 함께 참고할 수 있도록, 판옥선 측면의 연대표시를 경계로 갑판 위쪽에는 주요해전을 월별로 묶어 당시 수군의 깃발로 표현했고, 아래쪽 바닷속에는 전쟁기간 중 주요사건들을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