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Design

an editorial designer's life

  • 홈
  • 프로필
  • 방명록
  • 카테고리
    • 사진
    • 일상의 즐거움
    • 정보-기록-역사
    • InDesign Note
    • Portfolio
  • 최근 글 5
  • 전체 글 목록

피아졸라의 아버지 ‘노니노’


부모님과 함께 한 피아졸라 - todotango.com
'아디오스 노니노'는 대표적인 탱고의 명곡이다. 김연아 선수가 이 곡을 배경으로 감동적인 피겨 스케이팅을 펼쳐 준 덕분에, 우리에게도 이미 친숙한 음악이다. 제목에서 '아디오스'(adios)가 누군가를 떠나보내는 작별의 인사라면, '노니노'(nonino)는 피아졸라의 아버지 '빈센테 피아졸라'를 부르는 가족들의 애칭이었다 한다.
어머니인 '아순타 마네티'도 '노니나'(nonina)로 불렸다. 아마 이탈리아계 이민자였던 이들 가족은 서툰 이탈리아어로 할아버지(nonno)를 말하던 어린 피아졸라의 아들을 따라 가족끼리의 애칭으로 삼았던 모양이다.
피아졸라는 1959년 그의 나이 서른아홉에 아버지의 죽음을 맞게 된다. 이때 그는 방문을 걸어잠그고 끔찍한 한숨을 내뱉으며 전에 없던 절망에 빠져있었다고 하는데, 바로 그 방안에서 들려온 반도네온의 애절한 곡조가 '아디오스 노니노'였다.

어린시절의 피아졸라

피아졸라는 선천적 장애로 오른쪽 다리를 절었다. 어린시절 수차례 외과수술을 거쳐 정상에 가깝게는 되었지만 완치될 수는 없었다. 그때문에 피아졸라의 아버지는 항상 "대단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 결함이 있는 외로운 사람이 아니라 앞장서 나가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말해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피아졸라가 여덟살 때 반도네온을 사주며, 음악을 배울 수 있도록 이끌어 주었다.
피아졸라가 음악을 배우기 시작한 뉴욕시절은 대공황의 힘겨운 시대였다. 그의 아버지는 이발사, 어머지는 재봉사로 넉넉지 못한 생활을 했지만, 피아졸라의 음악수업은 이어졌다. 결국 1932년 첫 무대에 서며 피아졸라는 '반도네온의 신동'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종종 극장과 라디오 연주회에 나가게 되었다. 한번은 그를 위한 '반도네온 리사이틀'이 열려, '터키 행진곡'(모짜르트) 같은 클래식 음악을 연주하기도 했다. 이렇듯 어린 피아졸라에게 아버지는 반도네온과 탱고를 전해주고 음악가의 첫발자국을 분명히 내딛게 해 준 것이다.

고통이 준 깨달음

그런 아버지의 죽음이었기에, 피아졸라는 엄청난 정신적 충격에 휩싸였던 것 같다. 그리고 그 충격은 피아졸라 스스로 자신의 음악을 돌아보게 만들었다. 뉴욕에서 생활고를 이기기 위해 시작했던 탱고-댄스단 활동은 흥행에 성공했을 뿐, 음악적으로 만족스러울 리 없었다. 또 그의 '재즈-탱고'로 미국 대중에게 파고들려던 시도 역시 실패했음이 분명했다. 그 순간 피아졸라는 자기 음악의 시작점인 탱고에 더욱 확고히 뿌리내려야 함을 깨닫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피아졸라의 가장 유명한 곡으로 손꼽히는 '아디오스 노니노'가 탄생한 것이다. 피아졸라 역시 '아마 천사들에 둘러싸였던 것 같다. 앞으로 이보다 잘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아디오스 노니노'를 자기 최고의 작품으로 여겼고, 퀸텟, 오케스트라, 전자밴드(nonet:9인조) 버전 등 20회 이상 다시 편곡해 연주했다.
그리고 '아디오스 노니노'를 기점으로 한 음악적 전환 이후, '리베르 탱고'(Libertango), '탱고 제로아워'(Tango Zero Hour) 같은 피아졸라의 걸작들이 탄생한다
결국 지금 우리를 감동케 하는 탱고는, 이렇게 장애를 극복하도록 아들에게 음악을 선물한 아버지의 사랑에서 시작된 셈이다. 피아졸라에게 아버지는 탱고의 시작이었고, 또 그의 죽음은 피아졸라만의 탱고를 탄생케 한 전환점이 되어 주었다. 그렇다면 탱고에 빠져 보았던 모두 다시 진정으로 외쳐야 하지 않을까?
아디오스 노니노!
피아졸라의 앨범 : 왼쪽부터 아디오스 노니노, 부에노스 아이레스 라이브, 탱고 : 제로 아워

참고자료
  • 마리아 수사나 아치 외(한은경 역), 『피아졸라 - 위대한 탱고』(현대예술의 거장2), 을유문화사,2004.
  • 홍승찬,『그땐 미처 몰랐던 클래식의 즐거움』,책읽는 수요일, 2013.
  • (PLAY DB 기사) 김연아를 보내주어 그녀의 아디오스를 장식할 음악(황선아 기자) - LINK
  • todotango.com - LINK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김연아 선수 - BGM : Adios Nonino

Adios Nonino - 피아졸라의 반도네온 연주



Working Base

  • Format : 크라운판 176×248㎜   /   Program : Photoshop CS6, InDesign CS6
  • Font : 산돌명조 Light(본문), 윤명조 230, Caviar Dreams Bold, Arial Regular

Description

  • Magazine   /   Musid : Jazz Specila
  • Layout : 2단 6모듈 대칭 그리드
피아졸라의 사진이 대부분 흑백이어서
검은색과 그 보색계열의 오렌지색을 중심으로 배색했다.
흑백이미지는 검은 상자 안에 두어 대비효과를 주었다.
가독성을 위해 여백과 행간을 충분히 두고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리했다.





Working Base

  • Format : 신국판 152×225㎜   /   Program : illustrator CS6, InDesign CS6
  • Font : 산돌제비 Light(본문), 산돌고딕 Neo 중간/옅은체

Description

  • 학술지 내지 (미출간)
  • Layout : 1단 9모듈 대칭 그리드
본문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여백은 연한회색톤으로,
각주는 별도의 구분된 박스로 처리했다.
검색의 용이성을 위해, 스프레드 양쪽 끝에 회색띠를 두고 섹션명, 논문명, 쪽번호를 배치했다.
표(도표)에서는 불필요한 선을 삭제하고, 장, 절의 제목에는 선을, 인용문은 박스처리하여,
내용의 위계를 분명히했다.





Working Base

  • Format : 신국판 152×225㎜   /   Program : Photoshop CS6, illustrator CS6, InDesign CS6
  • Font : 바른바탕 Light(본문), 바른바탕 Medium,  a Noto Sans KR Light, Medium, Arial regular

Description

  • 단행본 : 인문교양서 (미출간)
  • Layout : 5단 5모듈 대칭 그리드
스프레드 양끝 단은 비워두고 관련된 사진이나, 해설등을 배치하여
본문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특히 내용이해에 도움이 될 지도나 도표의 배치에 유의했다.
여백과 행간을 충분히 주고, 베이지, 연한 빨강을 주로 배색하여,
자극없이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읽혀지도록 고려했다.

Working Base

  • Format : 210×260㎜   /   Program : Photoshop CS6, InDesign CS6
  • Font : 윤고딕 310, 320, 330,  a신신명조 Light

Description

  • Movie Magazine   /   Section 영화 : 시대를 읽다
  • Layout : 5단 6모듈 대칭 그리드
영화 속 미로처럼, 단의 높이와 위치에 변화를 주었다.
관련된 이미지는 내용전개에 맞추되 스프레드 외곽에 배치하여,
본문의 흐름이 시각적으로 이어지게끔 고려했다.
스크린 톤을 반영해 붉은계열로 배색했고, 영화정보는 마지막 페이지에 박스기사로 정리했다.

피아졸라의 누에보 탱고(Nuevo Tango)


자신의 반도네온과 함께한 피아졸라 : 1971 - 위키백과

탱고(Tango)라 하면, 많은 사람들이 영화 <여인의 향기>에서 춤곡으로 흘러나오던 멜로디를 떠올릴 것 같다. 나는 심지어 한동안은 그 멜로디 자체가 ‘탱고’라는 제목이 붙은 곡인 줄로 착각하기도 했다. 뒤늦게 알고보니 ‘뽀르 우나 까베자(Pour Una Cabeza)’란 곡으로 카를로스 가르델(Carlos Gardel)이란 가수가 불러 아르헨티나의 탱고를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한 곡이었다.
난 그렇게 막연히 탱고를 춤곡으로만 생각해 왔고, 별 관심이 없었다. 그러다가 몇 년전 우연히 피아졸라(Astor Piazzolla:1921-1992)의 음악을 듣고 빠져들게 되었는데, 그의 음악 역시 탱고라 불렸지만 전에 알던 탱고와는 다른 음악이기도 했다.
원래 탱고는 아르헨티나 부두노동자들의 춤곡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피아졸라는 춤곡이었던 탱고를 ‘발 보다 귀를 위한 음악’ 즉 춤이 아닌 감상하는 음악으로 만든 사람이다. 그래서 피아졸라의 탱고를 ‘누에보 탱고(Nuevo Tango)’라 한다.
피아졸라는 춤곡이던 탱고를 스트라빈스키와 바르톡의 클래식 그리고 재즈가 융합된 음악, 즉 누에보 탱고로 재탄생시켰고, 퀸텟(quentet) 에서 오케스트라, 전자앙상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험을 계속했던 작곡가였다.
탱고에서는 특히 반도네온(Bandoneón)이라는 악기의 절절한 음색과 느낌에 깊은 인상을 받게 되는데, 피아졸라는 그 스스로가 누구보다 뛰어난 반도네온 연주자이이기도 해서, 피아노, 반도네온, 바이올린, 베이스, 기타로 구성된 그의 퀸텟을 작은 오케스트라처럼 이끌고 세계를 돌며 관중들을 열광시켰다고 한다.
불같이 타오르는 탱고의 정신을 보존하며,
이리저리 얽힌 다양한 음들을 탱고라는 하나의 음악 속으로 감싸안는다.
(Keyboard:1987)
면도날처럼 정확한 리듬과 긴장된 앙상블이 상호작용하며,
섬세하면서도 악마적인 소리가 교차한다.
(Down Beat:1988)
바로크적인 섬세한 디테일을 자랑하며...
스톱타임, 베이스 즉석반주, 피치카토, 레가토, 대위법, 푸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망라했다.
이렇게 통제된 음악이 이렇게 자유롭게 들리는 것도 드문 일이다.
피터 위트러스
많은 연주자들이 탱고에 사로잡혀 피아졸라의 음악을 연주하고 있다. 로스트로포비치(첼로)는 '르 그랑 탱고'(Le Grand Tango)를 피아졸라와 협연했고, 게리 버튼(비브라폰)은 1986년 그의 퀸텟에 합류하여, 유럽, 캐나다, 칠레, 일본을 오가는 순회공연을 함께 했다. 또 요요마(첼로), 기돈 크레머(바이올린) 등 많은 클래식 연주자들이 지금도 그의 음악을 연주하고 있다. 유투브나 음원서비스를 검색하면 쉽게 찾아 들을 수 있다.

왼쪽부터 요요마(첼로), 기돈 크레머(바이올린), 아르테미스 4중주단의 탱고 앨범

피아졸라를 알려준 Tanti Anni Prima, Oblivion

5,6년전 쯤 친한 친구가 라틴 댄스 동호회를 다닌다고 해서 도움이 될만한 영상자료들을 찾아준 적이 있었는데, 그때 우연히 Tanti Anni Prima에 맞춰 탱고를 추는 동영상을 보고 넑을 놓았던 것이 피아졸라와의 첫만남이었다. 여인의 향기 같은 영화에서 보여지던 탱고와는 또 다른, 단정하면서도 절묘한 호흡이 느껴지는 영상이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 영상은 링크가 끊겨버렸다.
그 이후로 탱고를 찾아 듣게 되었는데, 처음엔 춤곡으로 알기시작한 탱고를 그야말로 감상하는 음악으로 깨닫게 해준 곡은 Oblivion이었다. 이 두곡 모두 검색해보면 종종 명상음악 쪽에서 발견되곤 하는데, 다른 탱고에 비해서도 서정적인 선율로 추억이나 아쉬움 같은 감정을 떠올리게한다. 마음을 울려준다고나 할까? 우리의 정서와도 닮아 있는 듯한 느낌의 곡이다. 탱고란 음악의 특징이 잔잔하다가도 거센파도가 치듯이, 열정적인 에너지가 억눌렸다 내뿜는 듯한 느낌을 주곤 하는데, 특히 반도네온(Bandoneón)이란 악기가 주는 느낌이 그런 것 같다.
Oblivion은 Ensemble IL GAREDLLINO의 연주를 특히 추천한다. 반도네온이 아니라 오보에로 연주해서 격정적인 느낌은 덜하지만 부드럽게 전형적인 탱고의 느낌을 잘 살려주고 있어서, 종종 찾아 듣고 있다.

Pour Una Cabeza _여인의 향기 中

Tanti Anni Prima

Oblivion : Ensemble IL GAREDLLINO








CMYK와 RGB



RGB는 빛의 3원색인 Red(빨강), Green(녹색), Blue(파랑)를 말하는데, TV, 모니터, 스마트폰 등 빛으로 표현되는 색입니다. 색을 더할수록 명도가 높아지는 가산혼합(Additive Color Mixing)방식으로, 3원색을 더하면 흰색이 됩니다.

CMYK는 잉크로 색이 표현되는 방식으로, 색을 더할수록 명도가 낮아집니다. 그래서 감산혼합(Subtractive Color Mixing)이라 합니다. Cyan(청록), Magenta(자홍), Yellow(노랑), blacK(검정)이 기본색입니다.
RGB와 달리 C, M, Y 세가지 색이 섞인 blacK이 포함된 이유는, 선명한 검정색이 세가지 색의 혼합만으로는 표현되지 않아서, 검정색 잉크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 RGB의 Blue와 겹치기 때문에 Black의 첫 문자인 B가 아닌 맨 뒤의 K로 표시됩니다. (또는 색조를 뜻하는 Key의 앞글자라고도 합니다)

인쇄에서 색의 표현

인쇄 순서
가장 보편적인 평판옵셋인쇄에서, 색의 구현은 CMYK의 4개 인쇄판을 나누어 만든 후(4도 분판), 순서대로 겹쳐 찍어내면서, 색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CMYK의 인쇄순서는 가장 어두운 색인 blacK에서 시작해서 가장 옅은 Yellow가 맨 뒤입니다. 그 다음에 별색이나 코팅 등의 후작업을 위한 인쇄판이 최대 4개까지 추가되어, 전체 8단계의 인쇄가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하프토닝(Halftoning)
실제 색의 표현은, 단순히 4도로 나누어 색을 겹쳐 찍는 것과는 다릅니다. CMYK로 각기 분판된 인쇄판은 색의 전체면을 점묘화처럼 작은 점들의 집합으로 찍어냅니다. 그래서 4가지 색의 미세한 점들이 혼합되는데, 이것을 눈으로 보면 각각의 미세한 점들은 보이지 않고, 혼합된 하나의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런 방법을 하프토닝(또는 스크리닝:Screening)이라 합니다.
영문 위키에서 발췌 : https://en.wikipedia.org/wiki/CMYK_color_mode

이때 모아레 현상이나 색의 뭉침을 방지하고, 보다 선명한 색의 표현을 위해, CMYK 각 색의 점들이 찍히는 각도를 다르게 합니다. 다음 그림은 그 대표적인 각도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문 위키에서 발췌 : https://en.wikipedia.org/wiki/CMYK_color_mode

별색(Spot color)
별색은 4도로 분판되어 혼합된 색이 아닌, 말그대로 별도로 만들어진 잉크로 표현되는 색입니다. 4도 인쇄된 색보다 깨끗하고 선명한 느낌의 색을 표현할 수 있는데, 가격도 그만큼 2~3배 비싸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일러스트레이터의 스와치 라이브러리에서 꺼내 쓸 수 있는 PANTONE사의 별색이 있습니다.


Adobe 프로그램에서 CMYK/RGB 설정하기

일러스트레이터와 인디자인은 CMYK가 기본이고, 포토샵은 보통 RGB를 기반으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편집디자인 작업은 이 세가지 프로그램을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색상설정을 함께 맞춰줘야 합니다. 그렇게 안 하면, 같은 색을 사용했음에도, 조금씩 다른 색으로 표현됩니다. 이유는 아래 그림처럼 색상설정마다 표현되는 색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이랍니다. 그래서 프로그램마다 각기 색상 설정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Adobe Bridge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일괄적으로 색상설정을 동기화할 수도 있습니다.

색상모드 마다 다른 색 범위

일러스트레이터에서 CMYK/RGB 설정
  • 메뉴 : File > Document Color Mode    * 문서가 열린 상태에서 활성화됨


포토샵에서 CMYK/RGB 설정
  • 메뉴 : Image > Mode    * 문서가 열린 상태에서 활성화됨


RGB → Lab Color → CMYK
대개 포토샵에서 많은 작업이 RGB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RGB 이미지를 CMYK로 변환하면, 색이 약간 어둡고 탁해집니다. 특히 파란색 계열의 변화가 크다고 하는데, 이런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RGB에서 Lab color모드를 거쳐, CMYK로 변환하는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Lab color는 RGB나 CMYK를 모두 포함하고, 실제 눈으로 식별가능한 모든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넓은 색상 범위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색상 모드를 바꿀 때 중간과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탄도항에서 누에섬까지 갯벌길이 열린다. 갯벌길 사이로 3대의 풍력발전기가 점점이 놓여있다. 갯벌은 주민들이 바지락 등을 채취하며 생업을 이어가는 곳이어서, 울퉁불퉁한 콘크리트로 포장된 길이 여러 갈래로 뻗어 있다. [지도보기]
1시간 정도면 탄도항에서 누에섬으로 나가며 풍력발전기들을 보고, 누에섬의 등대 전망대까지 다녀올 수 있다. 가장 서쪽인 등대전망대에서 탄도항쪽으로 야트막한 산등성이를 넘어 돌아올 수도 있고, 아니면 섬을 한바퀴 돌아올 수도 있다.
풍력발전기는 2009년에 준공되어는데, 발전된 전력은 대부도 내 1700가구(전력수요의 50% 충당)에 공급된다고 한다. 바람이 강한 방향을 스스로 찾아가며 초속 3~5(m/s)에서만 발전이 된다고 하는데, 아쉽게도 이날은 발전기 날개가 멈춰 있었다.


















Working base

  • Format : 탁상달력 240×180㎜ / Program : illustrator CS6 / Font : KorPub 돋움체, Helbetica Nueu

Description

  • 수원 화성의 주요전각을 주제로 한 탁상 달력. (2016년 11, 12월)
화성의 특징이 잘 드러난 전각들을 선정하여 촬영한 후, 사진을 참고하여 기본구도를 잡았다.
성곽을 표현한 일러스트와 함께 달력으로의 실용성에도 유의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했다.
일러스트는 기둥, 공포, 기와, 단청 등 전통건축의 특징이 잘 드러나도록,
단순화하지 않고, 가능한 세부를 표현하는 방향으로 작업했다.

Working base

  • Format : A4 297×210㎜ / Layout : 수평 5분할 그리드 / Program : illustrator CS6

Description

  • 임진전쟁의 주요해전이 일어난 시기와 위치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고려했다.
  • 수평으로 5분할된 공간 중, 상단 2모듈에는 지도를, 하단 3모듈에는 연표를 배치했다.
연표는 조선시대 주력 전함인 판옥선의 측면으로 표현했다.
주요 해전과 전쟁의 전반적인 상황을 함께 참고할 수 있도록, 판옥선 측면의 연대표시를 경계로
갑판 위쪽에는 주요해전을 월별로 묶어 당시 수군의 깃발로 표현했고,
아래쪽 바닷속에는 전쟁기간 중 주요사건들을 정리했다.

'종이 이전의 종이'라면 모순된 말 같지만, '죽간'이 주요 기록매체로 사용되던 기원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초기의 종이'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1957년 산시성의 고분에서 발굴된 파교지(灞橋紙, B.C. 156~87)는 화학분석과 촉각테스트 결과 종이와 같은 식물섬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외에도 방마탄지(放馬灘紙, B.C. 180~142)와 금관지(金關紙, B.C. 6c)등이 모두 채륜의 종이제작(AD 105년경) 보다 시기가 앞선다.

문헌에서도, 이 '종이 이전의 종이'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 A.D. 100)는 '紙(종이 지)’를 헌솜을 표백해 고르게 펴낸 것으로 풀이한다. 그리고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풀솜이나 마(麻)를 강물에 불리고 두드려 표백하는 표모(漂母)들에 대한 기록도 있다. 이 표모들은 진득한 섬유소들을 두드려 엉켜지게 한 다음 건조하여 얇은 조각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방마탄지와 같은 '종이 이전의 종이'들이 그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런 종이들은 이미 전한(前漢)대 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를 종이로 인정치 않는 학자들이 지적하듯, '종이 이전의 종이'들은 종이 제작에서의 자르기, 찧기, 뜨기를 거치지 않은 거칠고 조악한 조각들이기에, 고르고 넓은 면을 가진 채륜 이후의 종이와 다르다. 파교지의 경우 귀중품 포장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고, 방마탄지도 본격적 기록매체라기 보다는 지도를 그디는 등 보조적이고 제한적인 용도로 이용된 듯하다. 여전히 정보를 기록/전달하는 중심적인 매체는 죽간이었다.

하지만 '종이 이전의 종이'를 종이라 할 수 없다고 해도, 고대로부터 섬유성분의 물질을 유연하게 풀어 천을 만들어 왔고, 그것이 바로 채륜이 종이를 만들었던 원천이었다는 사실은 역시 변치 않는다. 이전까지는 종이(紙)의 어원이나 표모에 관한 이야기 등을 통해 막연히 추정해왔는데, '종이 이전의 종이'의 발굴로, 그 추정을 뒷받침해 주는 증거가 발견된 것이다. 즉 채륜 혼자 세상에 없던 종이를 완전히 새롭게 발명한 것은 아니란 말이다.

그렇다면 채륜의 종이가 갖는 가치가 그 만큼 떨어지는 것일까?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것이 세상에 과연 얼마나 존재할까? 오히려 많은 발명들이, 익숙하던 것을 낯설게 바라보고, 관련없어 보이던 것들을 연관짓고 종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채륜의 작업 역시 그러하다. 종이는 그렇게 채륜에 의해 보다 완성도 높은 기록매체로 만들어졌고, 그제서야 죽간을 대체하는 본격적인 기록매체로 부각될 수 있었다.



참고자료
  • MBC 다큐 『페이퍼로드』(6부작) 1부 위대한 유산, 종이의 탄생, 2010.
  • 진순신(조형균 역),『페이퍼로드:종이를 통해 바라 본 동서문명교류사』, 예담, 2002.
이전 게시물 홈

카테고리

  • Portfolio (6)
  • 사진 (5)
  • 일상의 즐거움 (2)
  • InDesign Note (1)
  • 정보-기록-역사 (1)

최근 게시된 글

프로필

  • 편집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
  • 책, 기타 인쇄매체의 디자인과 함께
  • 정보디자인과 웹에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 Link+Design은 저의 포트폴리오이면서
  • 일상의 관심거리들이 기록되는 아카이브입니다.
  • CONTACT : link9343@gmail.com

최근 게시된 글

카테고리

  • 사진 (5)
  • 일상의 즐거움 (2)
  • 정보-기록-역사 (1)
  • InDesign Note (1)
  • Portfolio (6)
Copyright © 2015 Link+Design Created By ThemeXpose